| 연구목표 |
기후 변화 대응 및 국가 경제 혁신성장을 위하여 국가 기간산업인 석유화학산업을 지속 가능한 바이오화학산업으로 재편해야 함. 이전까지 주로 연구개발 단계에 머물던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의 실용화 및 상용화에 적합한 차세대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로의 집중적인 업그레이드가 요구됨. 이에 바이오 빅데이터·머신러닝 기반 업그레이드된 세포 대사모델 및 시뮬레이션 기술을 ... |
| 연구내용 |
본 과제 1단계에서는 업그레이드된 시스템대사공학 원천기술 (시스템대사공학2.0) 개발 및 다양한 화학물질 생산 미생물 플랫폼 (대장균, 로도코커스, 맨하이미아, 코리네박테리움, 수도모나스) 개발, 2단계에서는 앞서 개발된 시스템대사공학2.0의 산업화?상용화를 위한 준비 및 다양한 활용기술 개발과 이의 적용을 통한 고효율 세포공장 개발이 이루어질 예정임. ?... |
| 기대효과 |
미생물 세포공장 설계 및 제작을 위한 차세대 원천기술인 시스템대사공학2.0을 활용하면 미생물 내 복잡한 대사 네트워크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최적화함으로써 산업용 미생물 균주 개발에 필요한 시간, 인력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음. 이는 바이오연료, 다이카르복실산, 다이아민, 락탐, 고분자 등의 다양한 범용 및 정밀 산업 화학물질들의 바이오기반 생산을 가능하... |
| 키워드 |
바이오리파이너리,대사공학,시스템대사공학,바이오화학산업,인공지능,미생물 세포공장,탄소중립,인실리코-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