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83
2024-05-22
내역사업 | 플라즈마 활용 폐유기물 고부가가치 기초 원료화 기술개발사업 |
---|
과제명 | 전환공정 플랫폼 및 고상전환 시스템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055001067 | ||||
부처명 | 기획재정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8-01 ~ 2025-03-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8-01 ~ 2022-12-31 |
연구목표 | 혼재, 무선별 폐기물을 C2단량체로 전환하기 위한 10 kg/h급 처리 용량의 플라즈마 전환 공정 플랫폼 기술의 개발 및 전처리, 분리 공정과 연계하는 1 ton/day 급 시스템 설계 기술 개발-모델 전환 반응 연구를 통한 반응 제어 기술 개발-대용량 플라즈마 소스 기술 개발 (100kW급 수소 기반 플라즈마 시스템)-전환공정 구성 요소 기술 개발 (fe... | ||
---|---|---|---|
연구내용 | ?전환공정 플랫폼 및 고상전환 시스템 개발- 전환공정 플랫폼 요소기술 개발 ? 유동화 Feed 공급 기술 개발 (온도와 점도를 가지는 유동화 feed를 안정적으로 전환 반응기 내에 균일하게 공급하는 기술) ? 대용량 플라즈마 반응기 개발 (수소 분위기의 방전에서 방전 효율 저하 없이 방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대 100kW급의 플라즈마 소스 개발 및... | ||
기대효과 | ?활용계획- 1단계 연구를 통해 혼재 폐유기물 전환을 위한 요소 기술 및 단위 시스템화 기술을 확보. 이를 토대로 기업이 참여하는 2단계 연구 발굴을 통해 개발 기술의 상용화를 추진- 고상폐기물의 경우 생활배출물이 대부분을 차지함을 고려하여 지자체의 폐기물 처리 시설 및 활용 기업과 연계한 후속 실증 사업을 추진. ?기대효과- 폐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 u... | ||
키워드 | 폐유기물,C2 단량체,플라즈마,플라스틱,혼재폐기물,무선별,단일 전환공정,올레핀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ET(환경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환경 > 폐기물관리/자원순환 > 폐기물 자원화기술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하수,폐기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기계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기계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1,912,5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