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2형 당뇨병 환자의 기존 치료 방법인 인슐린 (Insulin) 분비 촉진 및 당신생 (Gluconeogenesis) 매개와 차별화되는 연구로서, 본 연구의 목표는 호르몬 수준에서의 조절이 아닌 세포 자체의 대사를 조절하여 혈당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기존 치료의 단점인 부정확한 호르몬 노출에 대한 부작용 및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 |
| 연구내용 |
*배경이전 연구에서 Pgrmc1 KO 마우스에서의 지방간 촉진과 유리지방산 증가를 관찰하였다. 또한 알려진 바와 같이, Pgrmc1은 glucagon like peptide 1 receptor (Glp-1r)의 기능적 부분을 구성하여 인슐린분비에 관여한다. 이에 따라, Pgrmc1과 대사성 질환, 특히 제 2형 당뇨병에서의 역할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Pg... |
| 기대효과 |
*Pgrmc1의 효과현재까지 연구를 통해 Pgrmc1이 만성 내분비 질환인 당뇨 및 당뇨합병증과 관련이 깊은 것을 밝혀내었다. Pgrmc1의 부재 시 간의 당 신생감소와 근육의 인슐린 민감도 증가를 관찰하였다. 따라서 Pgrmc1의 낮은 수준은 당뇨병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대로, 심장대사에서의 Pgrmc1의 부재는 낮은 에너지 효율... |
| 키워드 |
황체 호르몬 수용체 막 성분 1, 당뇨, 고혈당, 인슐린 저항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