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오늘날 영국의 컨트리하우스는 셀 수 없이 많은 소설과 영화의 시대적 배경지로, 또한 TV 다큐멘터리 시리즈의 단골 소재로 등장하며, 연간 수백만 명의 방문객을 끌어들이는 국가 핵심 문화유산으로 소비되고 있다. 지주 귀족의 특권을 상징하고 과시하기 위해 세워진 영국의 컨트리하우스는 17세기 후반 왕정복고기부터 경쟁적으로 그 수가 증가하였고, 18세기가 되면 ...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1) 영국식 바로크 컨트리하우스로서의 채스워스 하우스 2) 컨트리하우스 투어리즘 시대의 채스워스 하우스 3) 동시대 미술 전시 공간으로서의 채스워스 하우스라는 세 개의 흐름으로 나누어 서술한다. 채스워스는 1549년부터 캐번디시(Cavendish) 가문이 사용해 온 개인 저택으로 본래 3층 규모의 엘리자베스 양식으로 지어졌으나, 초대 데본셔 공...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 기대효과를 찾을 수 있다.우선 본 연구의 시작점인 영국의 컨트리하우스 건립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한 17세기 후반 왕정복고기의 건축문화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국내 바로크 미술에 대한 논의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국의 바로크 미술은 비단 국내뿐만 아니라 자국 내에서도 크게 주목받지 못한... |
키워드 |
윌리엄 탈만, 채스워스 하우스, 영국의 컨트리하우스, 후기 스튜어트 왕조시대, 영국의 바로크, 바로크 건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