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도시경제학적 관점의 주거비와 교통비 간 상쇄관계에 기초하여, 가구의 주거이동에 따른 주거 및 교통비 부담의 변화 특성을 확인하고 도시공간 내 지역별 주거비와 교통비 부담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생애주기 단계별 수요를 고려한 부담가능주택 공급의 잠재적 대안입지 확장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음. 이와 관련하여, 연차별 세부 연구목표는 (1차년도) ... |
| 연구내용 |
본 연구과제는 ①수요측면에서, 가구의 주거이동에 따른 주거비와 교통비 부담수준 변화 특성 분석, ②공급측면에서, 지역별 주거비-교통비 수준 비교 분석, ③수요-공급 통합 측면에서, 부담가능주택 유형별 대안입지 도출의 세 부문으로 구성되며, 각 부문별로 연구책임자가 기존에 수행한 연구성과와 새로운 기술을 도입/참조함으로써 연구를 수행함. 본 연구과제 참여 연... |
| 기대효과 |
본 연구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음첫째, 학문/사회적 기여 측면에서, 주거비에 국한된 전통적 부담가능주택 개념에 가구의 도시활동 영위를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인 교통비를 포함함으로써, 부담가능주택 공급에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주택 및 주거 분야의 학문적 이론 강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부담가능주택의 유형화, 가구의 생애주기... |
| 키워드 |
부담가능주택, 주거비 부담수준, 주거비, 교통비, 상쇄관계, 생애주기 단계, 주택공급, 주택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