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본 연구는 북한의 정체성을 잘 보여주는 국기와 국장, 훈장과 같은 국가 상징물과 분단 이후 북한에서 대외 교류나 외국인을 위해 생산한 우표, 우편엽서, 해외용으로 발행된 『조선』과 같은 대중잡지에 실린 시각 이미지를 분석하여 북한의 대외 이미지 전략을 통사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시각매체별 특징과 시각 이미지들이 북한의 체제변화와 ...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비교적 유통이 편리하고, 수집이 용이한 북한의 우편엽서와 우표, 대중잡지 속 사진이나 삽화 등 시각매체를 대상으로 북한의 대외 이미지 전략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범위는 해방 직후부터 1980년대 말까지의 시각매체하며, 연구범위는 북한의 『조선미술사2』와 『조선조각사2』의 시기구분을 준용하여'새 민주 조선 건설 및 전쟁 시기'(1...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술적 효과를 기대한다. 첫째, 북한의 대외 이미지 전략을 시각매체를 통해 연구함으로써 향후 북한 관련 정책의 변화 방향을 예측하거나 남북한 협력을 위한 기반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방대한 엽서 이미지를 비롯해, 훈장, 우표, 대중잡지 등 다양한 시각매체를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첫 연구로, 그동안 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았거나... |
키워드 |
북한미술, 시각매체, 우편엽서, 포스터, 대외 이미지, 국가상징물, 북한 관광, 북한의 관광산업, 평양, 혁명가극, 남북교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