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본 연구는 조선시대 국가 의례 및 그것을 설행하는 공간을 수도 한양을 중심으로 살펴, 역사학에서 연구 범위를 확장하여 국문학을 비롯한 인문학 전반, 그리고 건축·도시학, 미술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통섭할 수 있는 계기의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의례 연구에 있어서 역사학에서는 주로 '의례의 정치성'에 주목하여 그것을 설행하는 공간은 간과하는 경향이었다. ... |
연구내용 |
■ 연구목적 : 조선시대 국가 의례 및 그것을 설행하는 공간을 수도 한양을 중심으로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인문학과 건축학, 도시학, 미술학 등 한양이라는 공간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분야와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바란다.■ 연구내용 : 의례와 그 의례를 시행하는 공간을 중심으로 하되 애매한 성격을 지녀 접근이 쉽지 않은 대상에 주목... |
기대효과 |
5년 동안 본 연구의 결과는 적어도 논문 5편에서 7편까지 예상된다. 이를 통해 기대하는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첫째, 학문적 기여도이다. 지원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태평관, 남별궁, 문소전, 영희전, 선원전은 건축학과 미술학을 중심으로 간간이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각 공간의 성격이 제대로 밝혀지지 못한 채 단편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여... |
키워드 |
한양, 의례, 의례공간, 길례(吉禮), 가례(嘉禮), 빈례(賓禮), 흉례(凶禮), 태평관(太平館), 남별궁(南別宮), 원묘(原廟), 혼전(魂殿), 문소전(文昭殿), 영희전(永禧殿), 선원전(璿源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