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1
2024-05-22
내역사업 |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
---|
과제명 | 조선후기 문과(文科) 급제자들의 출신 지역별 입사(入仕) 및 관직 진출 경로 분석 | ||||
---|---|---|---|---|---|
과제고유번호 | 1345347829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1-05-01 ~ 2024-04-30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5-01 ~ 2023-04-30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기본 목적은 영조대 이후 문과 급제자들의 문과 급제까지의 입사(入仕) 경로와 문과 급제 이후 관직 진출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조선후기 문과 급제자들의 경로 유형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후기 문과 급제와 관직 진출에 있어서 출신지역과 교육기관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당시 사람들이 교육기관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는지 살... | ||
---|---|---|---|
연구내용 |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문과 급제자의 입사 경로와 관직 진출 경로를 파악하고, 그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입력정보, 연차별 연구방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연구대상] 영조 즉위년(1724)부터 과거가 폐지된 1894년까지의 문과 급제자 6,754명[입력정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입력한다. ○ 문과 관련 정보 문과방목 을... |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기대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 교육 및 인재선발 제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조선후기 사학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사학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 확인되었다. 여기에 이 연구를 추가한다면 사학의 영향력을 보다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과 급제 경로와 관직 진출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서울과 지방의 교육기관에... | ||
키워드 | 문과 급제자, 입사 경로, 관직 진출 경로, 문과(文科), 과시(課試)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교육 및 인력양성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재)한국학중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재)한국학중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국비 | 23,4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