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울릉도 특산식물인 너도밤나무를 포함 전세계 너도밤나무속(Fagus)의 모든 종을 대상으로 유전체 자료에 기반하여 계통을 명확히 밝히고, 화석 정보를 이용하여 지리학적 시기가 보정된 계통수를 토대로 너도밤나무속 종이 분포하는 북반구(유럽, 동아시아, 북아메리카)의 생물지리 역사를 확립하여 북반구 생물지리 역사의 기초 지식을 획득하고 이에 따른 진화학적 가설을... |
| 연구내용 |
너도밤나무속의 10종을 대상으로 엽록체 전장 유전체를 규명하여 구조와 변이 수준을 밝히고, RAD-seq 자료를 생성하여 이들의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계통분석 및 형태형질의 진화 경향을 이해하고 생물지리분석을 통해 북반구의 생물지리 역사를 재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너도밤나무속 분류군이 어떤 경로로 대륙 간 이동 또는 분단되었는지, 이러한 생물지리학적 사건은... |
| 기대효과 |
너도밤나무는 유럽, 동아시아, 북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하는 모델 분류군으로서 이와 유사한 분포 양상을 보이는 분류군과 비교 및 종합 연구의 핵심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유전체 분석 기술을 확보하고 정착시켜, 분류학, 진화학 및 생물학 제 분야의 교육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울릉도 고유식물 및 한반도 자생 식물자원의 기원, 분류학적 연구, 응용연구에 중요한 ... |
| 키워드 |
너도밤나무,유전체,RAD-seq,엽록체,생물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