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Biologie'와 'Technik'의 두 단어 앞뒤를 따와서 만들어진 'Bionik'이라는 개념은 기술적인 응용과 실현가능한 기능방식들을 모색해볼 수 있도록 해주는 생물학적인 구조 및 과정에 대한 이해가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비오닉이라는 개념은 기능적이고 형태론적인 의미에서 자연을 그대로 모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최적의 기술적 응용이 가능... |
| 연구내용 |
1년차 연구 내용: 바우-비오닉의 방법론 연구: 유비적 추론1) 방법론의 추론바우-비오닉은 독일 비오닉의 선구자 베르너 나흐티갈에 의해 정립된 세 가지 방법론을 기초로 한다.* Biology Push: 생물학적 지식으로부터 기술적 응용가능성 도출* Technology: Pull기술적 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생물학적 지식 참고* Pool Research: B... |
| 기대효과 |
1)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인간과 환경과 기술이 맺어왔던 역사적 의미맥락을 현재의 상황으로 재전유하는 동시에 동시대적 맥락의 문제위상을 규정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건축디자인 연구방법으로 활용* 구체적인 개별 공간 디자인의 프로세스의 원형적 측면으로서 바우-비오닉의 원리에 기초한 건축디자인의 형태론적 원리들을 개별 사안에 따라 탄력적인 방법론으로 활용* 바... |
| 키워드 |
비오닉,바우-비오닉,유비적 추론,자연주의건축,생물학적 진화,최적화,형태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