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본 연구는 가장 최근의 문화담론인 포스트휴머니즘이 제시하는 새로운 주체(유목적 주체와 사이보그 주체), 지성(횡단적 지성), 신유물론적 존재론이, 전세계적으로 확대된 공감을 얻고 있는 페미니스트 영성학(thealogy, 캐롤 크리스트, 캐더린 캘러, 넬 모튼 등등)이 제시하는 주체(과정적 주체)와 지성(체화된 사유)과 존재론(내재적 영성)개념과 함께 공유하... |
연구내용 |
'포스트세속주의'는 하버마스가 지어낸 단어다. 계몽주의 근대이성중심의 세속주의가 수많은 위기를 만들어냈기 때문에, 하버마스는 과거의 종교나 영성에서 선별적으로 배울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면서 “포스트세속주의 시대”라는 말을 만들어냈다. 20세기가 “과학의 시대”라면 21세기는 “의식의 시대, 내면의 시대”라고 한다. 미국인구 3억중, 명상을 경험한 사람이 1...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영성학을 포스트휴먼 담론 안에 위치를 정립하고, 페미니스트 영성학이 인간이 직면하는 문제해결을 모색하면서 사회적으로 유용한 가치를 생산하는 학문으로서 입지를 명확하게 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 목적을 잘 달성할 수 있다면, 페미니즘 연구의 한 분야로서 급부상하는 페미니스트 영성연구가 학문으로서 자리를 잡을 뿐만 아니라, 질문에 답... |
키워드 |
페미니즘, 페미니즘 영성학, 포스트휴머니즘, 로지 브라이도티, 다나 해러웨이, 캐롤 크리스트, 넬 모튼, 캐더린 켈러, 마가렛 앳우드, 토니 케이드 뱀버러, 한강, 사라 넬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