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에서 개발한 '한국어기초사전'의 문법 용례를 분석하여 사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용례가 한국어 학습자 대상 사전의 용례로서 적절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에 들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다양한 한국어 사전이 편찬되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어휘 목록을 중심으로 한 용어집 형태에 그쳐 온전한 사전의 형식을 갖추지... |
연구내용 |
본 연구의 목적인 『한국어기초사전』의 문법 항목에서 사용된 용례의 적절성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로서,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기초사전』의 문법 항목에서 사용된 용례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 자료 구축 및 초급 문법 항목에 대한 용례 분석 연구(1차년도)로서 다음의 내용이 포함된다.첫째, 풀이말 및 용례의 타당성 확인을 위한 기준 제...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성공적인 수행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한국어 교사 및 학습자는 물론 『한국어기초사전』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타당하고 적절한 용례를 제공함으로써 문법 이해에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보다 정확하게 문법을 익힐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용례가 ... |
키워드 |
한국어교육, 문법, 용례, 한국어기초사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절성, 타당성, 성인지 감수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