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정보

과제 상세정보

목록

조선후기 잡학생도(雜學生徒)의 양성과 선발에 관한 연구-역학(譯學), 음양학(陰陽學), 의학(醫學)을 중심으로-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54

등록일

2024-05-22

사업 정보
내역사업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조선후기 잡학생도(雜學生徒)의 양성과 선발에 관한 연구-역학(譯學), 음양학(陰陽學), 의학(醫學)을 중심으로-
과제고유번호 1345348819
부처명 교육부
시행계획 내 사업명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예산출처지역 대전광역시 사업수행지역 대전광역시
계속/신규 과제구분 신규과제
과제수행연도 2022 총연구기간 2021-07-01 ~ 2026-06-30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2-04-01 ~ 2023-03-31
요약 정보
연구목표 본 연구는 조선후기 잡학교육의 실제를 밝히는 과제 중 하나로 특히 19세기 후반에 어떤 이들이 해당 학문을 학습하였고, 학습 이후의 진로는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조선에서의 잡학교육은 각 전문기관에서 별도로 담당하였다. 역학(譯學)은 사역원(司譯院)에서 관장하였고, 음양학(陰陽學)은 관상감(觀象監), 의학(醫學)은 전의감(典醫監), 혜민서(惠...
연구내용 본 연구는 6년차(총 5개년)에 걸쳐 진행된다. 각 단계별 연구내용 및 범위, 연구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1년차(2021.7.1.~2022.3.31.)]□연구내용 및 범위-사역원·관상감·전의감의 생도 선발규정 및 교육과정 정리, DB화-사역원·관상감·전의감의 생도 명단 및 개인정보 정리, DB화□연구방법-고종 대 법전인 대전회통(大典會通) , 사역...
기대효과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 잡학교육의 전체적인 윤곽을 드러내어 해당 시기 교육정책과 교육제도에 대한 폭넓은 관점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전통시대에서 근대로 이행되는 19세기 후반이라는 시기를 고려할 때, 잡학생도의 갑오개혁·통감부 설치·일제강점기·해방 전후 시기의 행적을 추정하여 전통시대와 근대 이후의 교육제도의 연...
키워드 잡학생도, 역학생도, 음양학생도, 의학생도, 조선후기 잡학교육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기업 대학 국공립(연)/출연(연) 외국연구기관 기타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기타 산업기술분류
미래유망신기술(6T) 기타 기술수명주기
연구수행주체 과학기술표준분류
주력산업분류 적용분야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중점과학기술분류 과제유형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명 충남대학 사업자등록번호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명 충남대학 사업자등록번호
최종학위 박사 최종학력전공
사업비
국비 40,000,000 지방비(현금+현물) 0
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