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57
2024-05-22
내역사업 |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
---|
과제명 | 리쾨르와 아렌트의 생명과 행위의 철학 : 취약성, 행위주도, 이야기 개념을 중심으로 | ||||
---|---|---|---|---|---|
과제고유번호 | 1345349260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1-07-01 ~ 2026-06-30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4-01 ~ 2023-03-31 |
연구목표 | 우리는 지난 1년간, 급격하게 새로운 삶의 방식을 맞이할 수 밖에 없었다. 죽음에 대한 공포가 엄습했으며, 거의 모든 것이 일순간에 정지되기도 했다. 혐오, 개인의 자유 제한, 탈진실화된 '정보'의 만연, 생존의 위기 등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웠지만, 이것이 그림의 전부는 아니다. 우리는 죽음에 대해 생각하기보다 삶에 대해 생각했다. 이웃에 대한 관심을 넘어... | ||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두 철학자의 연구 현황에 비추어 볼 때, 주제적으로, 방법적으로 새로운 시도를 감행하는 것이라 하겠다. 두 철학자가 공명하고 있는 생명과 행위의 철학 속에서 구조적-개념적 유사성의 지도를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것이 포스트코로나와 포스트휴먼 시대의 “함께 살기”에 대한 철학적 기여를 도모한다. 나아가 리쾨르와 아렌트가 모색했던 새로운 윤... | ||
기대효과 | (1)포스트휴먼과 생명정치의 반인간주의적 경향을 검토하고 새로운 주체성과 윤리학 논의에 비판적 인간주의의 견지의 자원을 충원. (2)리쾨르의 미번역 텍스트를 번역함으로써 리쾨르 철학에 대한 보다 입체적인 해석도모. (3)기존의 공생, 공존의 윤리학에 대한 생명-행위 철학의 '함께 살기'의 인간학적, 정치적 측면의 기여. (4)리쾨르와 아렌트의 행위와 생명 ... | ||
키워드 | 행위, 생명, 삶, 취약성, 행위 주도, 이야기, 신체, 체현, 함께 살기, 함께 살려는 의지, 세계사랑, 삶의 체험, 성장, 나이듬, 죽어감, 살아감, 죽음, 출생, 탄생성, 새로운 시작, 진정성, 약속, 용서, 책임, 윤리, 포스트휴먼, 포스트코로나, 생명정치, 신체의 해석학, 아렌트, 리쾨르.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목원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목원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국비 | 4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