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9
2024-05-22
내역사업 |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
---|
과제명 | 조선후기 왕실 여성의 復位·追崇 儀禮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345349408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1-07-01 ~ 2026-06-30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4-01 ~ 2023-03-31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조선후기에서 대한제국기까지 수행된 복위(復位)와 추숭(追崇) 의례(儀禮)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위와 추숭은 지위를 확정 짓는 공통성을 가지고 있지만 복위는 지위 상실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회복을, 추숭은 지위의 상승을 가져온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연구대상은 왕비와 세자빈, 대한제국의 황후와 황비이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국... | ||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조선후기에 수행된 왕실여성의 위상 찾기를 주제로 한다. 곧 복위(復位)와 추숭(追崇)을 통해 왕비·세자빈 등이 본래 본인의 지위를 회복하거나 변경된 위상을 확보하는 과정을 의례의 정비를 통해 탐구하려는 것이다.대상을 왕비와 세자빈, 황제국 후비로 주체를 분류하고, 복위와 추숭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연구할 것이다. 왕비는 생전의 왕비의 복위와 사후 ... | ||
기대효과 | 본 연구과제 수행을 통한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왕실 여성의 지위와 직분, 위상을 의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법제를 초월하여 규정을 명문화 할 수 없었던 왕실여성의 위상과 역할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자료 발굴과 소개, 분석을 통해 사학사적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왕실 여성의 복위·추숭을 기록한 등록과 의궤... | ||
키워드 | 복위, 추숭, 추존, 왕비, 세자빈, 의례, 등록, 의궤, 황후, 황귀비, 위상, 지위, 왕실, 인현왕후, 단경왕후, 정순왕후, 소현세자빈, 단의왕후, 효순왕후, 명성황후, 순헌황귀비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국비 | 4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