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연구의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개인수준의 국민건강보험빅데이터를 이용해, 기회불평등 지표로 많이 이용되는 세대 간 소득이동성의 지역적 차이와 시간적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를 구축하는 것, 둘째 지역의 환경 차이가 자녀세대의 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것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 |
| 연구내용 |
(연구의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개인수준의 국민건강보험빅데이터를 이용해, 기회불평등 지표로 많이 이용되는 세대 간 소득이동성의 지역적 차이와 시간적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를 구축하는 것, 둘째 지역의 환경 차이가 자녀세대의 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것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 |
| 기대효과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본 연구는 학문적, 정책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그동안 제한된 데이터로 인해 많은 한계를 지녔던 한국의 기회불평등연구를 비약적으로 발전시키고 빅데이터를 이용해 지역별, 시대별 기회불평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최초의 실증연구일 뿐만 아니라 이론적으로도 기회불평등의 원인에 관한 기존의 논리를 발전... |
| 키워드 |
기회불평등, 세대 간 소득이동성, 빅데이터, 준실험적 방법, 국민건강보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