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인종'이 '민족'으로, 나아가 '국가'로 이어진다는 헤르더의 사유를 '범아프리카주의 운동의 논리적 뼈대로 차용한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두보이스(W. E. Du-Bois)이다. 두보이스는 범아프리카주의 운동의 “살과 뼈를 제공한 실질적인 주도자로 그가 없는 범아프리카주의는 상상하기 어렵다.” 이런 통념에 적실하게 부응이라도 하듯, 두보이스는 범아프리카주의 ... |
연구내용 |
유럽의 계몽주의 인종론과 북미의 백인중심주의 문명론을 내면화한 두보이스는 아프리카 본토를 기독교와 영어를 매개로 계몽을 시켜야 하는 대륙으로 일갈했다. 그는 아프리카를 물리적 실체를 가진 독립적인 대륙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저 범아프리카주의 운동의 지구적 전개를 위해 불가피하게 도구적으로 견인할 수밖에 없는 '상상적 이상화' 혹은 '낭만적 미장센'의 대상... |
기대효과 |
본 연구과제는 다음 네 가지 측면에서 파급 효과는 물론이고 교육과의 연계성을 극대화할 것이다. 첫째, 영어권 및 불어권 문학연구에서 소위 부피가 가장 큰 범아프리카 지역의 문학을 포괄함으로써 한국 내 외국문학의 지역적 편협성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이는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하는 일로 한국의 학문 후속세대에게 의미 있는 자극을 줄 ... |
키워드 |
범아프리카주의, 탈식민주의, 네그리뛰드, 할렘 르네상스, 트리콘티넨탈리즘, 두보이스, 마커스 가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