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p형 투명산화물반도체 구현이 상업적 성공 여부를 결정지음에도 불구하고, 많이 연구된 대표적인 산화물 ZnO조차도 실험적 신뢰성/재현성 부족과 이론적 얕은 받게 모델의 부정확성으로 인하여 지금 직면한 근본적인 의문 (미스터리)-"과연 원리적으로 p형 투명반도체가 가능한가?"-에 대해 대답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p형 투명산화물반도체를 구현... |
| 연구내용 |
차세대 (광)전자 장치의 핵심 소재인 투명산화물반도체는 지금까지 성공적인 p형 반도체 개발의 지지 부진으로 다양한 산업 응용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형 투명산화물반도체의 가능성에 대한 해답의 부재와 더불어 이를 만족하는 조건들 (예, 유효질량, 이동도, 및 전하농도)에 대한 예측이 핵심 장애물이다. 따라서 분자동역학을 기반으로 바닥... |
| 기대효과 |
p형 산화물반도체은 n/p junction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전자산업 (예, LED, CMOS)에 기초가 되기 때문에 산화물반도체 도래를 앞당길수 있다. 또한 자동화/머신러닝 예측 가늠자는 새로운 반도체 소재 연구 분야를 개척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도구 될 것이다. (a). 계산 과학에 의해서 예측된 p형 반도체가 새로운 반도체 소재 연구 분야를 개... |
| 키워드 |
산화물 반도체,p형 도핑,시모스,결함-불순물,제일원리,예측 가늠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