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복리후생은 직원들의 생활수준 보장 및 동기부여 향상에 있어 임금과 함께 보상의 양대 축으로 기능한다. 현대 기업보상 전략의 토대를 제공하고 있는 총보상이론에 따르면 임금 이외에 다양한 보상의 형태를 활용함으로써 직원 만족도와 조직성과를 높일 수 있는데, 오늘날 우수한 복리후생제도를 제공하는 기업에 대한 선호가 나날이 높아지는 현상은 이러한 총보상이론의 주장... |
| 연구내용 |
복리후생은 직원들의 생활수준 보장 및 동기부여 향상에 있어 임금과 함께 보상의 양대 축으로 기능하며, 총보상 관점에서 오늘날 그 중요성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리후생제도와 관련된 국내 논의는 주로 선택적 복리후생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효과 검증에 머물러 있다. 국외 연구 역시 유사한 상황으로, 최근 인사관리 분야에서는 복리후생제도가 실무... |
| 기대효과 |
본 연구과제는 최근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여전히 연구에 있어서는 정체기에 머물러 있는 복리후생제도와 관련하여 논의의 공백이 존재해 왔던 연구주제, 이론, 실증 측면에서의 세 가지 이슈들을 바탕으로 제안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기반 할 때, 본 과제를 통한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학문적 측면에서는 첫째, 연구 주제 면에서 선택적 복리후생제도에 ... |
| 키워드 |
선택적 복리후생제도, 임금, 총보상, 인력구조, 외부환경, 디커플링, 인사수준, 직원태도, 조직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