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0
2024-05-22
내역사업 |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
---|
과제명 | 역동적인 환경에서 지속가능성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에 대한 제도적 압력, ESG 전략, 그리고 한국 기업에 대한 경쟁적 시사점 | ||||
---|---|---|---|---|---|
과제고유번호 | 1345353034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5-01 ~ 2023-04-30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5-01 ~ 2023-04-30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ESG 전략에 기반한 지속가능성과 창출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기능 및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업의 경쟁우위를 경제적 (또는 재무적) 성과에 초점을 두고 있는 이전 연구들은 최근 사회적 및 환경적 가치를 더욱 중시하고 있는 변화한 경영 트렌드를 이해하기 다소 어렵다. 즉... | ||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제도이론을 바탕으로 기업이 ESG(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 전략을 이행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제도적 압력을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창출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업이 직면한 세 가지 유형(규제적, 모방적, 규범적)의 제도적 압력을 ESG 전략과 구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일련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두 가지 핵심 연구 질문을 이론화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기업의 전략 및 경쟁우위에 관한 연구에 중요한 이론적 기여를 제공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도적 관점에서 기업의 정당성 관리 전략과 지속가능경영에 관한 문헌에 이바지할 수 있다. 즉, 본 연구는 기업의 정당성 관리 전략 중 하나... | ||
키워드 |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신제도이론, ESG 전략, 디지털 전환 역량, 지속가능성과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기타 산업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목원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목원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국비 | 26,15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