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이 연구는 신경과학 분야에서의 연구결과에서 비롯된 뇌에 관한 이해를 토대로 기독교 종교 자원 중 빼놓을 수 없는 침묵기도의 활용이 불안을 줄이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려 영적실천으로서의 침묵기도를 목회돌봄과 상담의 수단이자 치료적 개입으로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상적 기도나 실천(contemplative prayer or practice)에 익숙하...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상관관계 방법론, 신경가소성, 그리고 침묵기도라는 영적 실천이 뇌에 변화를 가져오는 원리를 설명하여 침묵기도를 영혼 돌봄과 목회상담을 위한 치료적 개입으로 제시한다. 먼저 신학과 과학의 관계를 상관관계 방법을 통하여 논의하므로, 신학과 과학이 대립과 갈등이 아닌 대화와 통합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초를 놓는다. 나아가, 신경과... |
기대효과 |
신학과 과학이 반목과 대립이 아니라 대화와 통합으로 관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목회신학에서의 방법론인 상관관계 방법론을 신경신학(neurotheology)이라는 분야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지난 20년간 눈부신 발전을 이룬 신경과학 분야에서의 발견을 신경가소성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이해하게 되고, 침묵기도라는 형태의 영적인 실천이 영성 함양을 위해서 어떤... |
키워드 |
목회상담, 신경과학, 신경가소성, 상관관계 방법, 침묵기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