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6
2024-05-22
내역사업 |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
---|
과제명 | 가계부채 및 경기변동성을 악화시키는 금융기관 경기순응성에 대응하기 위한 거시건전성 정책 효과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345353259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5-01 ~ 2023-04-30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5-01 ~ 2023-04-30 |
연구목표 | ▢ 본 연구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금융산업 시스템 리스크(systemic risk)의 발생가능성을 억제하기 위한 거시건전성 정책의 안정효과를 정책실험을 통해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함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바젤III 위원회 산하 은행감독위원회는 금융산업의 경기순응성(procyclicality)이 시스템 리스크의 원인 중 하... | ||
---|---|---|---|
연구내용 | ▢ 이질적 경제주체를 가정한 뉴케인지언 DSGE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이자율 조정방식의 통화정책과 경기대응적 거시건전성 정책의 정책조합이 주요 금융변수 및 거시변수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 연구의 구성은 크게 기존문헌 연구, 모형의 수립 및 일반균형 도출, 균형상태 모형의 모수(parameters) 추정, 정책실험(시뮬레이션) 및 결과분석 등 네... | ||
기대효과 | ▢ 최근 한국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적의 금융안정 및 경기안정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정책적 조합을 탐구하여 유의미한 학문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것으로 기대 ○ 이자율 조정 방식의 기존 통화정책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진 편이나, 최근 본격적으로 도입된 경기대응적 거시건전성 정책의 효과를 DSGE 모형을 통해 분석하는... | ||
키워드 | 가계부채, 경기순응성, 통화신용정책, 거시건전성정책, 동태확률일반균형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국비 | 24,364,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