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최종 연구개발 목표]단일세포 전사체-후성유전체 지도 작성 및 분석을 통해 퇴행성 뇌질환 연관 유전자 조절 기전을 개별 세포 타입에서 규명하고, 초기 질환 진단을 위한 신규 타겟 유전자를 발굴함.[세부 목표]1. 단일 세포 수준의 전사체-후성유전체 지도 제작 및 세포 클러스터별 프로파일링2. 고해상도 염색질 3차 구조 지도 제작 및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 구... |
| 연구내용 |
[단일 세포 수준의 전사체 및 후성유전체 지도 제작]◦ 파킨슨병 환자 및 정상인 유래 흑색질(substantia nigra) 대상 단일세포 전사체(snRNA-seq) 및 후성유전체(snATAC-seq) 지도 작성.◦ 알츠하이머병 환자 및 정상인 유래 해마(hippocampus) 대상 단일세포 전사체(snRNA-seq) 및 후성유전체(snATAC-seq) 지... |
| 기대효과 |
◦ 질환 관련 생물학적 기전 및 후보 유전자를 세포 타입 특이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통한 퇴행성 뇌질환의 새로운 진단 및 치료법을 제시함.◦ 퇴행성 뇌질환 환자 뇌조직 유래 최초 전장(genome-wide) 단일 세포 전사체 및 후성유전체 지도이기 때문에, 해당 분야 연구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참조 지도를 제공함.◦ 퇴행성 뇌질환과 같은 복합 유전 질환은 기존의... |
| 키워드 |
퇴행성 뇌질환,유전자 발현 조절,단일 세포 전사체,단일 세포 후성유전체,염색질 3차 구조,질병 연관 유전변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