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51
2024-05-22
내역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
과제명 | 광시야 장기간 시계열 관측으로 발견한 왜소신성과 왜소은하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345353995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6-01 ~ 2025-05-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6-01 ~ 2023-02-28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연구 목표가 있습니다. 1) 관측적 한계로 인해 관측이 되지 않고 있는 종족 II 왜소신성을 다량 찾고 이 왜소신성의 폭발 특성을 종족 I 왜소신성 폭발 특성과 비교하여 왜소신성의 폭발 기작 및 진화를 이해하고자 합니다. 2) 질량이 작아 주변 은하들에 의해 중력적으로 많이 영향을 받는 어두운 왜소은하를 은하군에서 찾고, 왜소은하 구조... | ||
---|---|---|---|
연구내용 | ● 시계열 영상을 이용하여 왜소신성을 찾는 방법은 영상차감법을 이용합니다. 이 방법은 이전 관측 영상과 다음 관측 영상의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밝기가 변화하는 천체들을 찾고, 기존 변광성 목록에서 알려진 변광 천체들을 제거 합니다. 나머지 천체들에 대해 측광 관측을 수행하고 광도곡선을 구합니다. 여기까지 방법은 KSP에서 초신성을 찾는 방법과 같기 때문에 ... | ||
기대효과 | KMTNet으로 찾은 희귀한 종족 II 왜소신성은 기존에 발견되지 않은 왜소신성으로 종족 I 왜소신성과 비교 연구를 통해 중원소함량이 왜소신성 폭발에 기여하는 특성을 관측적으로 분석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또한 이 자료를 바탕으로 왜소신성 이론에 정통한 해외 왜소신성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수행할 것입니다. KMTNet으로 찾은 다량의 희귀한 종족 II 왜소신성... | ||
키워드 | 왜소신성,왜소은하,어두운 천체,외계행성 탐색시스템,Dwarf novae,Dwarf galaxy,Faint o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지구과학 > 천문학 > 항성·항성계/외계행성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52,5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