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다양한 환경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신경계 유해성을 검증하여 미세플라스틱이 염증성 뇌질환의 발병 가속화에 미치는 영향과 손상 기전을 확립하고 이에 대응하는 치료 가능성을 제시함● 환경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종류의 (초)미세플라스틱 입자 라이브러리 구축● 다종의 (초)미세플라스틱 입자의 노출에 의한 신경교세포의 활성 변화와 신경세포의 기능 장애 비교 검증● (초)... |
| 연구내용 |
1. 환경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미세플라스틱 입자 라이브러리 구축◆ 혈뇌장벽 투과 가능성이 높은 직경 500 nm 이하 크기의 초미세플라스틱 확보 (PS, PP, PE, PMMA)◆ 초미세플라스틱 입자의 크기, 형태 및 특성 분석2. 미세플라스틱 노출에 의한 신경교세포의 활성 변화분석◆ 생쥐 신경교세포의 초대배양을 기반으로 다양한 미세플라스틱 처리 후 별아교... |
| 기대효과 |
1)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새로운 환경 유해인자 발굴을 통하여 뇌질환 치료기술 개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 미세플라스틱의 신경계 유해성을 규명하여 향후 플라스틱 오염 방지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 및 제도 마련과 플라스틱 생산 및 폐기량 저감을 위한 해결방안 모색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로 활용 2)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과학기술적 측면: 미세플라스... |
| 키워드 |
미세플라스틱,뇌질환,신경교세포,염증,면역세포,혈뇌장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