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1)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목표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고착성 생활사를 지니는 식물이 변화하는 광조건에 적응하기 위해 어떤 신호전달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광변화에 대한 식물의 신호전달 체계의 양면성 (세포자율적 신호전달과 세포특이적 신호전달)을 규명하고 식물들의 환경 적응과 진화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한다. ... |
| 연구내용 |
연구개발과제의 내용 1년차: 단핵 전사체 분석(Single-nuclei transcriptome)을 통해 식물체 전체의 모든 세포에 대한 세포 수준 전사체의 분석 방법의 확립 * 연구 내용 - 장일 조건의 애기장대 WT를 5주간 생육 후 완벽한 핵분리 수행 - 기존에 발표된 애기장대의 세포별 마커 유전자들의 확보 - 애기장대 ... |
| 기대효과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가) 평생 고착성 생활을 하는 식물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광조건에 대응한 생장과 발달을 통해 반응해야함. 이에 대한 작용기작이 세포특이성과 세포자율성의 양면성을 지닌 전사체적 메커니즘을 이용함을 이해할 수 있음. 나) 광변화에 대한 반응의 양면성을 애기장대 뿐 아니라 진화와 적응의 관점에서도 양면성이 이용됨을 이해할 ... |
| 키워드 |
단핵 전사체 분석,광신호전달,비모델 식물,생물정보학,세포특이적 유전자 발현조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