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염증신호의 최상위수준인 수용체복합체내에서의 유비퀴틴화 조절연구는 수용체-선택적으로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특이적으로 제어함으로서, 비정상적으로 과활성화 된 염증-매개질환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이들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확보한 또는 신규로 발굴되는 유비퀴틴 제어 단백질 및 활성화합... |
| 연구내용 |
▪ 연구내용-1. 작용기전 및 일차작용점(primary target) 규명1) 연구기반 확보- 과발현/Knock Out 세포주(CRISPR-Cas9/viral), 단일벡터 리간드-의존적 타겟 유전자 발현 시스템(IQ-switch), Myddosome 활성화 세포주 등 2) 수용체 복합체 구성인자 유비퀴틴 특성 및 단백질-단백질 결합 분석3) 유비퀴틴 패턴... |
| 기대효과 |
1. 유비퀴틴-매개 NF-κB 활성화의 분자적 작용기전을 규명함으로서, 새로운 파라다임의 신호전달 경로 및 수용체 기반의 염증 신호 상호작용 네트워크 구축.2. 유비퀴틴-매개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관련 염증-매개 질환의 병태생리 이해 및 치료의 분자적 표적 제시3. 신규 제어인자를 도출을 통한 염증-매개 질환의 표적치료제 개발의 원천기술 확보.4. 신규... |
| 키워드 |
유비퀴틴,염증병인,표적인자 발굴,기전규명 ,단백질-단백질 결합,FN14 수용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