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현대인에게서 만성 스트레스나 불규칙한 식이에 의해 나타나는 대표적 기능성 위장장애인 기능성소화불량증과 위식도역류질환에 관하여 임상과 유사한 전임상 모델 확립과 Brain-Gut axis 측면에서의 카할기질세포의 기능부전 기전 규명을 통해 스트레스 또는 식이 습관에 의한 기능성 위장장애의 발생 기전을 규명하고자 함 |
| 연구내용 |
○ 임상과 유사한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위식도 역류질환 모델 확립 - 만성 스트레스와 같은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이용하여, FD과 GERD 전임상 모델을 확립하고 임상과의 유사도를 검증○ FD과 GERD에서 위장 운동 저하와 ICC의 기능부전의 기전 연구 - 확립된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비정상적인 위장관 운동 저하 및 ICC의 기... |
| 기대효과 |
○ 기능성 위장장애 발병 원인으로서의 ICC 기능부전의 기전 규명 - 기능성 위장장애는 현재 발생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병기전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지만, 대부분의 공통적인 증상으로 위장관 운동의 저하가 즉, ICC의 기능부전이 나타나기에 중요한 요인일 것이라 예상되나 이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며 이를 밝힘으로써 본 연구결과가 이에 대한 실마리를 제... |
| 키워드 |
기능성 위장장애,기능성 소화불량증,위식도 역류 질환,위장관 운동성,카할 기질 세포,뇌-장 축,스트레스,불규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