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 환경의 몰입감 있는 상호작용을 위한 햅틱 컨트롤러 프로토타입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
가상현실 환경의 몰입감 있는 상호작용을 위한 햅틱 컨트롤러 프로토타입 |
과제고유번호 |
1345354794 |
부처명 |
교육부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6-01 ~
2023-05-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6-01 ~
2023-05-31
|
요약 정보
연구목표 |
본 연구책임자의 박사학위 논문 주제는 '새로운 햅틱 효과와 일루젼의 탐구 및 이를 활용한 효과적인 가상현실 햅틱 인터페이스 개발'이다. 박사학위 논문 주제에 따라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를 단계별로 진행하고자 한다. 각 단계는 박사학위논문의 큰 주제 아래 작은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 해에 박사학위 논문에 모든 연구를 포괄하는 통찰과 결론을 도출하고자 ... |
연구내용 |
각 햅틱 디바이스를 개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할 예정이다:1. 기존의 구현된 몰입감을 위한 햅틱 디바이스, 그리고 가능케 한 상호작용을 파악2. 구현되지 않은 상호작용과 이를 가능케 할 메커니즘 탐구 및 디바이스 직접 개발3. 개발한 디바이스의 효용성을 사용자 스터디를 통해 평가4. 개선점과 파악하고 개선사항이 많을 시 디바이스 수정5. 개선된 디바... |
기대효과 |
본 과제의 연구결과는 기존에 가상현실 환경 속에서 구현되지 않아 존재할 수 없었던 손을 이용하는 가상의 물체와 상호작용을 다양한 직관적인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도록 새로운 구현 방법을 탐구하고 구현 방법과 통찰을 제시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는 이상, 가상현실 환경 속의 상호작용은 진동하는 리모컨을 통해 버튼으로 입력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게 된다... |
키워드 |
가상현실,햅틱 컨트롤러,상호작용, 몰입감 |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
|
|
|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문사회학 > 문화예술체육학 > 콘텐츠 > 가상현실/가상세계 |
주력산업분류 |
|
적용분야 |
문화, 여가증진, 종교 및 매스미디어 |
중점과학기술분류 |
|
과제유형 |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사업비
국비 |
2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비고 |
|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
가상현실 환경의 몰입감 있는 상호작용을 위한 햅틱 컨트롤러 프로토타입 |
과제고유번호 |
1345354794 |
부처명 |
교육부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6-01 ~
2023-05-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6-01 ~
2023-05-31
|
요약 정보
연구목표 |
본 연구책임자의 박사학위 논문 주제는 '새로운 햅틱 효과와 일루젼의 탐구 및 이를 활용한 효과적인 가상현실 햅틱 인터페이스 개발'이다. 박사학위 논문 주제에 따라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를 단계별로 진행하고자 한다. 각 단계는 박사학위논문의 큰 주제 아래 작은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 해에 박사학위 논문에 모든 연구를 포괄하는 통찰과 결론을 도출하고자 ... |
연구내용 |
각 햅틱 디바이스를 개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할 예정이다:1. 기존의 구현된 몰입감을 위한 햅틱 디바이스, 그리고 가능케 한 상호작용을 파악2. 구현되지 않은 상호작용과 이를 가능케 할 메커니즘 탐구 및 디바이스 직접 개발3. 개발한 디바이스의 효용성을 사용자 스터디를 통해 평가4. 개선점과 파악하고 개선사항이 많을 시 디바이스 수정5. 개선된 디바... |
기대효과 |
본 과제의 연구결과는 기존에 가상현실 환경 속에서 구현되지 않아 존재할 수 없었던 손을 이용하는 가상의 물체와 상호작용을 다양한 직관적인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도록 새로운 구현 방법을 탐구하고 구현 방법과 통찰을 제시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는 이상, 가상현실 환경 속의 상호작용은 진동하는 리모컨을 통해 버튼으로 입력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게 된다... |
키워드 |
가상현실,햅틱 컨트롤러,상호작용, 몰입감 |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
|
|
|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문사회학 > 문화예술체육학 > 콘텐츠 > 가상현실/가상세계 |
주력산업분류 |
|
적용분야 |
문화, 여가증진, 종교 및 매스미디어 |
중점과학기술분류 |
|
과제유형 |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사업비
국비 |
2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비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