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디스플레이 산업은 대한민국의 주축을 이루는 것으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zinc blende 구조에서 간접 밴드갭을 가져 발광 특성을 갖기 어려운 GaP를 직접 밴드갭을 갖는 wurtzite 구조로 합성하여 발광 특성을 확인하고, GaP 쉘의 두께를 변화시켜 녹색에서 청색까지의 발광 파장 변화를 유도하며, 최종적으로 전... |
| 연구내용 |
① GaP를 우르자이트 구조로 성장시키는 기반이 되는 ZnS의 우르자이트 구조로의 합성에 대한 것을 연구함. 우르자이트 ZnS 합성에 대한 것은 그 자체로도 논문 발표 주제가 되는 만큼, 연구 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임.② GaP 와 ZnS 사이의 적층에 필요한 에너지 등에 대해 연구하여 균일하고 안정적인 적층에 필요한 조건을 탐색함. 구체적으로 적합한 합성... |
| 기대효과 |
퀀텀닷 자체의 재료적인 측면에서, 현재 정형적인 조성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퀀텀닷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GaP를 사용한 비카드뮴 퀀텀닷의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음. 비카드뮴 계열로서 디스플레이 뿐 만 아니라 바이오 이미징, 센서, 레이저로도 사용 가능함. 현재 시판되는 OLED와 비교할 때 전계발광 기반의 QLED는 무기물질로서 가지는... |
| 키워드 |
퀀텀닷,퀀텀닷 디스플레이,우르자이트 GaP,콜로이달 퀀텀웰,역 I 형 퀀텀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