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본 연구는 자타카(Jataka, 본생담) 계통의 한국 고전서사를 통시적으로 살피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자타카는 불보살의 전생담이라는 점에서 종교적인 담론으로 인식되기가 쉽다. 더욱이 한국에 유입·전개된 자타카의 대부분은 한역경전에 찬역되었다가 국문화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국한문의 경전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없지 않다. 신앙성을 벗어나 순문예성을 추구한 ... |
연구내용 |
본 과제는 총 3년에 걸쳐 진행한다. 방대한 자타카 자료를 읽고 분석·정리하는 일반론적인 토대 연구를 진행한 다음, 주요 작품군을 선정하여 한국문학으로 정립되는 과정을 추적해야 하기 때문이다.첫째, 1차 년도에는 자타카의 국외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자타카는 인도에서 발생하여 서아시아나 유럽으로 전해져 교훈적인 이야기를 생산하는 원천이 되었을 뿐만 아... |
기대효과 |
자타카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겸비하여 현재적인 관점에서 아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것은 연구 성과에 대한 기대효과가 그만큼 큼을 뜻한다. 이를 몇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학문적인 기대효과이다. 자타카는 허구적인 서사물로 교훈성이 내재된 불보살의 전생담이다. 대중적인 전승물을 불교의 윤회관에 입각하여 불보살의 위신력을 제고하는 담론으... |
키워드 |
자타카, 본생경, 육도집경, 월인석보, 본생담(本生譚), 고전서사, 인도설화, 고전소설, 변문(變文), 변상(變相), 두껍전, 토끼전, 옹고집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