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 경제적 포화 상태에 처해 있는 한반도 입장에서 볼 때 북극권은 새로운 경제 공간 창출 및 유라시아 대륙으로의 진출 등을 지향하고 있는 '신북방정책'의 실현 공간- 북극권은 기후변화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환경파괴에 따른 영향이 가장 심각하게 나타나는 지역- 북극은 경제적 기회와 증가하는 국제적 관심과 함께 심각한 환경적, 사회적 혼란에 직면해... |
연구내용 |
○ 연구 범위 및 5대 주요 연구 영역 북극 원주민 사회(AC 6개 원주민단체) 현황 분석 / 북극 원주민단체 주요 과제 및 목표 분석 / UN SDGs 17 목표, 169 세부목표와 북극이사회 지속가능한 개발 워킹그룹(Sustainable Development Working Group)의 북극 원주민에 대한 정책 분석 / 기후변화 및 북극개발 과정에서의 ... |
기대효과 |
ㅇ 정책적 기여 -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해양수산부를 비롯한 국내 북극 관련 정부 기관의 관련 정책 분석을 위해 적절하고 가치 있는 정책 판단과 결정 과정의 참고 자료를 제공 - 한국의 북극전략 수립에 있어 북극 소수민족 관련 정책 개발을 촉진하여 관련국들과의 정책연계 및 공조 관계 형성을 위한 추진동력을 창출할 수 있고 본 과제가 설... |
키워드 |
북극, 북극 원주민, 북극이사회, 지속가능한 개발, 지속가능개발 워킹그룹,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