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1) 본 연구자는 1930년대 시인인 이상과 임화와 박종화 시에 나타난 서울방언, 김기림과 이용악과 김광섭과 윤동주 시에 나타난 함경도방언, 정지용과 오장환 시에 나타난 충청방언, 백석 시에 나타난 평북방언, 김영랑과 박용철 시에 나타난 전남방언, 유치환 시에 나타난 경남방언, 이육사 시에 나타난 경북방언 등 방언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1930년대 시 텍...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1930년대 이상과 임화와 박종화 시에 나타난 서울방언 연구, 김기림과 김광섭, 이용악과 윤동주 시에 나타난 함경도방언, 정지용과 오장환 시에 나타난 충청방언, 백석 시에 나타난 평북방언 연구를 진행하고, 특수조사와 복합조사, 연결어미, 보조용언 등 생활언어의 문학적 실현 양상을 연구한다. 또한 동일 방언권의 시인들의 시에서 공유되는 방언의 특징... |
기대효과 |
1930년대 시 텍스트에 보존된 한반도 각 지역의 방언이 시에 반영된 양상을 개인적 언어습관이 반영된 시 텍스트 연구는 의미 분석에 근거한 시인론과 주제론에 치중한 기존의 현대시 연구 방법에서 벗어나 시문학과 국어학-방언학이 연계된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본 연구에서 진행되는 북한 방언 자료의 확보 작업을 통해 남‧북한의 언어와 시문학의 단... |
키워드 |
경남방언, 경북방언, 문체, 문학어, 보조용언, 복합조사, 생활언어, 서울방언, 연결어미, 전남방언, 충북방언, 평북방언, 함경북도방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