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연구배경] COVID-19가 팬데믹으로 선언된 후 개인들은 건강, 재무 및 경제, 심리 및 사회관계에서 위협과 스트레스를 받았고 일상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온-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건강관리와 사교, 소비의 변화는 새로운 소비문화를 만들고 있다. 직접 대면을 피하는 언택트(untact) 문화, 재택학습과 재택근무는 COVID-19 기간 나타... |
연구내용 |
1.1년차: COVID-19에 따른 주요 변화 패턴 연구(1) COVID-19 상황에서의 위험 인지-행동 실태 분석 ► 건강 및 감염위험, 재무적/경제적 위험, 심리적/사회적 관계의 위험으로 구분하여 측정항목 개발, 측정, 분석 ► 위험 요소에 따른 부정적 감정 정도를 파악, 스트레스 수준과 대응 행동 유형 분석(2) COVID-19과정에서 나타난 긍정-... |
기대효과 |
[학문적인 측면] ► COVID-19를 경험한 개인들의 정서-인지-행동의 변화에 대해 실태를 이해하고 스트레스 대응행동과의 인과적인 모델을 구축하고, 인지된 위험 유형과 부정적 정서의 수준 및 스트레스와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한다. ► 코로나 이후 개인의 가치변화와 소비행동 및 온라인 관련 라이프 스타일 변화 양상을 발견하고 새로운 트렌드 고착화 가능성 예... |
키워드 |
코비드-19, 인지된 위험, 스트레스 대응행동, 라이프 스타일, 가치,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적응적 대응행동, 소비문화, 사회적 병리현상, 삶의 질, 2차원 순환 가치 모형, 경험 표집,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