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53
2024-05-22
내역사업 |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
---|
과제명 | 명(明)⋅청(淸)시기 시대정신의 변화와 불교의 대응 | ||||
---|---|---|---|---|---|
과제고유번호 | 1345356141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7-01 ~ 2024-03-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7-01 ~ 2023-03-31 |
연구목표 | 본 과제는 명(明)⋅청(凊)시기 시대정신의 변화에 따른 '중국불교'의 대응을 연구하고자 한다.명⋅청시기는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이후에 가장 쇠락한 시대이다. 명대는 승려 출신인 태조 주원장(朱元璋)에 의하여 '이학(理學)'을 통치이념으로 삼았으며, 불교에 대한 철저한 통제정책을 실시하였다. 태조의 불교 통제정책은 사후에 완화되었지만, 전체적인 명조에서 '승... | ||
---|---|---|---|
연구내용 | 본 과제는 중국의 명(明)⋅청(凊)시기 시대정신의 변화에 따른 '불교'의 대응에 대한 고찰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과제에서는 1단계 3년차와 2단계 3년차에 대한 년차별 과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년차 연구목표: 명대(明代) 불교정책과 불교의 대응세부주제: ⏵명(明) 황제의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대응⏵요광효(姚廣孝)의 '정난(靖難)... | ||
기대효과 | 중국 명⋅청시기 '시대정신'의 변화에 따른 불교의 대응을 연구하는 본 연구는 다양한 학술적인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유추할 수 있다. 그를 적기하자면 다음과 같다.첫째, 본 연구를 통하여 중국 명⋅청시기의 불교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명⋅청대는 고대⋅중세와 근⋅현대를 연결시키는 중요한 시기이다. 지금까지 중국불교에 대한 연구는 당⋅송대에 집중되어 왔는... | ||
키워드 | 중국불교, 명대불교, 청대불교, 근대불교, 시대정신, 불교통제, 억불정책, 승록사(僧錄司), 민족불교, 불교호국론, 거사불교, 유불융합, 승관제(僧官制), 사대고승(四大高僧), 선문지쟁(禪門之爭), 경세불교(經世佛敎), 조사선(祖師禪), 선정일치(禪淨一致), 삼교합일(三敎合一)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타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국비 | 3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