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113
2024-05-22
내역사업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
과제명 | AI 기반 머신러닝을 활용한 시간의존성 염화물 확산계수 도출 및 탄소량 저감을 위한 LCCO2 평가 | ||||
---|---|---|---|---|---|
과제고유번호 | 1345356254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1-09-01 ~ 2023-08-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9-01 ~ 2023-08-31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AI 시스템에 기존에 확보된 확산계수 데이터 및 자료조사를 통한 실내 시험 및 실태조사 결과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여 최적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도출하고자 하며, 이를 기반으로 염해 내구수명 해석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또한 염해 내구성능 해석 시 RC 보의 구조적 거동과 취약부의 영향을 고려하여 구조적 거동과 취약부에 의해 전반적으로 변... | ||
---|---|---|---|
연구내용 | 1차 년도에서는 시간의존성 염소이온 확산계수 도출을 위한 AI 시스템을 개발 후 해당 시스템에 확보된 염소이온 확산계수 결과와 자료조사 결과를 다시 Input data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최적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도출 후 RC 보의 구조적 거동 및 취약부를 고려한 결정론 및 확률론적 내구수명을 평가할 계획입니다. 2차 년도에서는 AI 시스템... |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인 AI 시스템 기반 최적 시간의존적 염소이온 확산계수 도출을 통한 내구수명 해석 및 탄소량 저감을 위한 최적 콘크리트 배합 평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또한 본 신청자는 이번 프로그램의 지원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주도적 연구 진행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연구기관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최... | ||
키워드 | AI 시스템,머신러닝,염해,염소이온 확산계수,확률론적 해석 방법,LCCO2 평가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타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ET(환경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건설/교통 > 건설시공/재료 > 건설구조재료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건설업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6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