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과제의 최종 목표는 다양한 동기부여를 갖는 환경적 자극이 동시에 주어질 때 동물의 뇌가 외부의 자극과, 몸에서 오는 항상성 신호를 판단하여, 가장 최적화된 행동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신경 회로의 기작을 생쥐모델을 통해, 외부의 환경과 내부의 체내 혈당에 반응하는 VMH 시상하부 영역의 신경세포의 네트워크의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서, 근대 신경생물학... |
| 연구내용 |
동물들은 생존의 확률을 최대화하고, 안정, 항상성 혹은 사회적 필요에 의한 동기부여를 만족시키기 위해, 주어진 자극에 적절한 선천적인 행동을 보임. 이러한 동기에 의한 선천적 행동은 신경과학 분야에서 최근 많은 주된 관심사가 되어 왔음에도, 이러한 행동은 한 신경세포가 포도당 항상성 유지 혹은 공격과 같은 하나의 동기부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분리된 접... |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대효과 및 혁신성a. 행동-신경과학-인공지능 과학자 공동연구를 통한 기술적 혁신 본 연구과제의 중요한 부분인 행동을 관측하기 위하여,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특정 행동양상의 분류 및 학습기를 활용하고, 'anxiety'나 'fear'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인간의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특징을 추출하고, 다양한 신경세포의 활성도와 행동의 실... |
| 키워드 |
행동/시스템 신경과학,당뇨병/포도당 항상성유지,불안장애/공격성, 선천적 방어행동,신경생물학 기술과 인공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