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본 연구는 유치환 시에 나타난 장소와 장소성에 대한 의식을 총체적으로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특히 작품 속에서 재현되고 있는 장소성의 의식을 구체적 지명(地名)을 중심으로 재독해함으로써 유치환 문학의 미적 특질을 장소와 장소성의 관점에서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유치환 시에서 재현되는 '장소'를 분석하면서 '장소'는 인간의 심원한 의식의 중심으로... |
연구내용 |
1) 연구의 내용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우선 대상 텍스트를 한정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청마 유치환 전집』 Ⅰ·Ⅱ·Ⅲ·Ⅳ(유치환, 남송우 편, 『청마 유치환 전집』 Ⅰ·Ⅱ·Ⅲ·Ⅳ, 국학자료원, 2008.)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유치환 시의 '장소성'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유치환 시에서 먼저 '만주' 지명이 제시되고 있는 시편들을 중... |
기대효과 |
1) 장소성에 대한 유치환 시학의 새 지평을 제시 본 연구는 유치환 시의 '장소' 시편들을 장소성의 관점으로 분석함으로써 유치환 문학의 연구 지평을 확장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치환 시에서 구체적 장소는 유치환 시의 미학을 규정하는 중요한 정체성이었음을 살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유치환 시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논의에서 밝히지 못한 ... |
키워드 |
유치환, 장소, 장소성, 만주, 경주, 부산, 서울, 탈주의 장소, 신화의 장소, 초월의 장소, 부정의 장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