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81
2024-05-22
내역사업 |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
---|
과제명 | 불씨 소재 설화의 한일 비교연구 ; <대대로 내려온 불씨>와 <섣달그믐날의 불(大歳の火)>를 중심으로 | ||||
---|---|---|---|---|---|
과제고유번호 | 1345356766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9-01 ~ 2023-08-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9-01 ~ 2023-08-31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불씨 소재 민담인 담과 담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 설화의 전승양상을 살펴보고, 불씨 신앙담으로서의 두 이야기가 각기 어떠한 모습으로 변용되었으며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불의 원천으로서의 불씨는 인간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파괴와 창조의 상반된 불의 속성은 죽음과 풍요의 서사가 되어... | ||
---|---|---|---|
연구내용 | 이 연구는 불 신화 및 불 관련 민간신앙과의 연장선상에서 논의되었던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일본과의 비교연구를 시도한 것이다. 논의를 통해 불씨신앙담으로서의 원형서사와 독자적 특성을 탐색할 수 있다. 이때 원형서사의 추적은 한일 불씨신앙과 습속에 대한 이해로 연결되고, 독자적 특성에 대한 규명은 설화의 변이 소인에 대한 탐색이자 이야기에 작용한 사회문화적 배... | ||
기대효과 | 한국과 일본의 불씨 소재 민담인 담과 이야기의 비교연구는 그간 미진했던 설화연구에 지리적 확장을 도모함으로써 각각의 설화 속에 내재된 불씨 신앙담으로서의 원형과 독자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논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 및 활용방안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와 이야기에 내재된 동아시아 불씨 신앙의 토착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 | ||
키워드 | 불씨, 민담, 불신앙, 불 상징, 불 민속, 한일 비교, 민간신앙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국비 | 14,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