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인간이 문학을 향유하게 된 배경은 실존에 대한 자문 때문이다. '나'를 어떻게 이해하고 정의 내릴 것인가? 그 철학적 변증법으로서 노랫말과 이야기를 구가하였다. 설화의 시대가 지나자 더 이상 그 변증법만으론 '나'의 존립성을 이성적으로 규명해 내기 어려웠다. 복잡하게 설계된 사회 제도와 이념에 상치(相馳)하는 현실적 욕망이 대두했기 때문이다. 설화 시대의 ... |
연구내용 |
「애정전기소설에 나타난 규시(窺視) 화소의 문학적 기능」Ⅰ. 서론Ⅱ. 규시 화소의 양상 1. 생면부지 타자와의 관계 맺기 2. 복수(複數)의 소문 탐색하기 3. 일탈과 유유(唯唯)의 욕망 중합하기Ⅲ. 문학적 기능 1. 서사 공간의 탄성적(彈性的) 변주 2. 상층 문화의 동경 의식 조영Ⅳ. 결론애정전기소설에 나타나는 규시 양상은 먼저 '생면부지 타자... |
기대효과 |
애정을 본원에 둔 욕망의 실현, 그 측면에서 규시 화소는 애정전기소설의 주제 의식을 강화한다. 서사 구조 측면에서도 사건 간의 긴밀성을 돕고 등장인물 사이의 심리를 극대화한다. 문학적 필법으로 중요한 화소지만 고전소설 연구자 사이에서는 규시 화소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지 않았다. 선후대 작품마다 비근하게 출현하는 화소이다 보니 유별하지 않을뿐더러 원소(元素)... |
키워드 |
애정전기소설, 규시, 엿보기, 화소, 애정 서사, 애정 공간, 고전소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