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본 연구는 코스페이시스, 제페토, 구글 3D 지도 등 메타버스(Metaverse) 도구를 활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문학 교육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메타버스라는 용어는 2019년 코로나 바이러스의 발생 이 후 온라인상에서의 비대면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급부상하게 되었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우리는 이미 코로나 19 이전에도 메타버스의 세상을 살아가고 있었다.... |
연구내용 |
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가상현실의 역사문학 작품에서 가상현실에 대한 묘사는 1938년 프랑스 희극작가 앙토냉 아르토의 수필집 『연극과 그 이중성』(1958)에서 등장인물이나 사물의 “환상성”을 “가상현실”로 묘사하는 장면에서 시작되었고 이후 공상과학 소설의 주된 소재로 발전해 나갔다. 2. 메타버스(metaverse)의 개념메타(me...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은 첫째, 문학 수업의 필수요소인 작품 읽기와 분석을 보다 흥미롭고 깊이 있게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작품을 각색하거나 새롭게 인유, 각색하는 과정에서 작품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둘째, 인문대 학생들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디지털 리터러시를 증진시킬 수 있다. 연구는 제... |
키워드 |
가상현실, 메타버스, 사이버 공간, VR 문학, 3D 구글 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