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141
2024-05-22
내역사업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외연수 |
---|
과제명 | In-situ 단층촬영 시각화 및 디지털 볼륨 상관관계(DVC)를 이용한 적층 제조된 계층적 복합 재료의 4차원 변형 매핑 | ||||
---|---|---|---|---|---|
과제고유번호 | 1345357570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9-01 ~ 2023-09-30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9-01 ~ 2023-09-30 |
연구목표 | 1. 연수목표 ◎ 3D 프린팅 공정 유도 미세구조의 기하학적 특성 및 파괴거동 규명 요구에 대한 체계적 접근 및 분석 ◎ 현장 내 실험 및 디지털 볼륨 상관관계(DVC)를 이용한 4차원(3D+시간) 변형 맵핑 기술에 대한 전문역량 강화 ◎ KAIST-Oxford 간 공동 연구를 통해 3D 프린팅 공정 및 이미지 분석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세계적 수준의 논... | ||
---|---|---|---|
연구내용 | ○ 연구 목표: In-situ 단층촬영 시각화 및 디지털 볼륨 상관관계(DVC)를 이용한 적층 제조된 계층적 복합 재료의 4차원 변형 매핑-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표면⦁구조⦁구성 측면에서 매우 계층적일 수 있는 고강도/고경량 특성의 복잡구조 경량복합소재를 제조하고, 극소 단층촬영(HR-XRM)에 기반한 내부 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기... | ||
기대효과 | ○ 3D 프린팅 공정 및 이미지 분석 기술 역량 강화- 미국 루이스 그룹, 유럽 스튜다트 그룹 등이 이끄는 3D 프린팅 공정 및 소재개발 기술에 대해 후속세대 연구 그룹이 아닌, 선두 연구 그룹으로 도약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음. - 또한, 아직까지 과학적 정의 및 학술적 규명이 필요한 3D 프린팅 된 복합소재의 독특한 미세구조와 파괴거동을 정량... | ||
키워드 | 3D 프린팅,내부미세구조,극소 X-ray 단층촬영,복잡구조 경량복합소재,In-situ CT / DVC 분석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재료 > 고분자재료 > 복합재료제조기술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45,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