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88
2024-05-22
내역사업 |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
---|
과제명 | 율곡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로 본 인공지능(AI)의 해석과 현대적 의의 | ||||
---|---|---|---|---|---|
과제고유번호 | 1345357658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2 | 총연구기간 | 2022-09-01 ~ 2023-08-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2-09-01 ~ 2023-08-31 |
연구목표 | 21세기에 접어들면서 '4차 산업혁명시대(4IR; fourth industrial revolution)'라는 초고속사회로 진입하면서 유학의 범주 안에 있는 성리학은 변화하는 세계에 대한 적합한 해석이 필요하게 되었다. 변화하는 세계, 곧 21세기는 포스트휴먼시대에 놓여있고 대표적인 것이 인공지능의 탄생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디지털 형태의 훈련 자료가 급격히... | ||
---|---|---|---|
연구내용 | ① 음양동정과 인공지능: 태극은 음양의 변화 속에 있을 뿐이어서 모든 변화는 음양으로 표상된다. 그렇기에 음양은 태극의 상징이고, 태극의 집은 음양으로 뒤집어 말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음양 없이는 그 차체만으로 존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태극은 음양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자기 자신을 드려내기 때문이기도 하다. 태극의 이해는 음양의 내적인 작용을 통해서만 ... | ||
기대효과 | 율곡의 '기발이승'으로 하여 인공지능에 적합한 담론을 형성하고 연구를 체계화할 수 있다면, 유가철학은 학문적으로 포스트휴먼사회의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유가철학이 현대사회의 다양한 담론을 범주화하고 해석을 통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인공지능이 탑재된 로봇이 갖춰야 할 행동적인 요구는 순수하게 도덕적인 측면을 넘어서서 완전히 사회적인 측면에... | ||
키워드 | 기, 기발,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 빅데이터, 율곡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교육 및 인력양성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국비 | 14,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