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현재 대한민국의 모든 성인 남성들에게는 헌법과 병역법에 의해 병역의 의무가 부여되고 있다. 병역판정검사 결과 절대 다수가 입영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사실상 대한민국 성인남성 대부분이 병역의무를 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이들은 누군가의 아들이고, 형제/남매이며, 애인이고, 남편이며, 아버지다. 그만큼 한국사회의 모든 구성원은 군대와 직간접... |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영화 와 드라마 의 병영 부조리 재현 양상을 살피고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구명하는 것이 목표이다. 연구대상의 특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두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병영 부조리가 끊어지지 않고 있고, 그 끝에는 죽음이라는 파국밖에 없다는 비판적 관점이다. 악습을 끊고 싶었지만 결국 또 다른 가해자가 되어 자살하게 되는... |
| 기대효과 |
영화 와 드라마 에서 병영 부조리가 어떻게 재현되는지 살피고 그 의미를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구명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중간 및 최종 결과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먼저 학문적 측면에서 첫째, 대중문화연구의 범주를 확장시킬 수 있다. 대중문화와 대중문화콘텐츠는 말 그대로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의 현실을 대상으로 한다. 그동안 외면 받아왔던 불편... |
| 키워드 |
병영 부조리, 병역, 군대, 가혹행위, 탈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