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지금까지 학교 현장에서의 인권교육은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그대로 전달하거나, 가능한 인권을 많이 알려주는 형태로만 진행된다는 한계를 보인다. 인권교육이 중요한 만큼 그것들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하고 새로운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점에 현장교사와 인권강사는 공감한다. 본 연구 또한 그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으로, 인권교육... |
연구내용 |
첫째, 지금까지 학교 현장에서의 인권교육은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그대로 전달하거나, 가능한 인권을 많이 알려주는 형태로만 진행된다는 한계를 보인다. 인권교육이 중요한 만큼 그것들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하고 새로운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둘째, UN 인권교육 훈련선언에서 제시한 인권교육의 세 가지 차원(인권에 대한 교육... |
기대효과 |
첫째, 인권교육이 중요한 만큼 그것들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하고 새로운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학교 현직교사와 인권강사에게 실제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UN 인권교육 훈련선언에서 제시한 인권교육의 3가지 차원을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는 인권교육이 가장 인권이 존중... |
키워드 |
어린이 인권교육, 국가인권위원회 어린이 인권도서, 인권교육의 세 가지 차원(인권에 관한 교육, 인권을 통한 교육, 인권을 위한 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