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본 연구는 명청시대 소설과 희곡 삽화에 나타난 특징적인 공간과 시간 표현을 '이지동도'(異地同圖)와 '이시동도'(異時同圖)라는 개념으로 요약하고 이를 통해 화가가 문학 작품의 서사와 주제를 어떻게 해석했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동아시아에서 오랫동안 발전되어 온 '이야기 그림'의 가치 있는 전통이 무엇이고, 이러한 전통이 삽화에 어...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이지동도와 이시동도의 운용을 밝히고 화가의 작품에 대한 해석을 추적하기 위해 개별 작품의 삽화본을 연구 대상으로 하거나, 개별 삽화본을 단독으로 연구 대상으로 삼는 것이 적절하다. 이지동도와 이시동도가 무엇이고, 그 차이가 무엇이며, 상호관련성이 무엇이며, 어떻게 구체적으로 작동하는지 밝히며, 이를 이용하여 화가가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명청 문학 삽화본에 나타난 이지동도와 이시동도의 운용과 효과를 밝히는 연구로, 연구자의 연구 의욕과 의도에 걸맞게 연구가 진행된다면, 연구 과정에서 인용되는 자료와 연구 결과는 가치 있는 많은 기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연구는 기존의 학계에서 소외되었던 학문 분야로서, 문학과 미술의 결합물인 삽화본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 |
키워드 |
삽화, 이지동도, 이시동도, 명청 시대, 공간, 장면, 반투명 공간, 시공 복합 형식, 순환 서사, 서상기, 수호전, 홍루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