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 '고령운전자'의 등장과 증가는 의학과 보건학의 발전으로 '연장된 수명'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자동차의 대중화'로 인한 新사회현상이다. 노년기의 운전은 개인의 이동권과 사회참여와 직결되는 권리인 동시에 사회적으로는 고령운전자 중 위험운전자로 인한 공공의 안전과 직결된 사회문제이다. ○ 국내에서는 2010년 전후로 고령운전자에 대한 연구가 다소 확대되었지... |
연구내용 |
1) 연구목적본 연구는 자율주행 등 기술환경 변화와 함께 증가하고 있는 고령운전자를 둘러싼 사회문제를 다학제적, 통합적으로 접근 및 고찰로 고령운전자의 삶의 질과 안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개인의 이동권과 공공의 안전이 균형 잡힌 사회정책을 개발 및 제시하고자 함2) 연구내용고령운전자에 대한 사회이슈를 크게 세 개(삶의 질, 안전, 사회정책) 그룹으로 ... |
기대효과 |
○ 학문적 기여: 선행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분야인 고령운전자를 둘러싼 여러 사회문제들을 종합적이고 심도 있게 분석하여, 이 분야의 기초자료를 위시한 연구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학문적으로 의미 있는 기여를 할 것이다. 또한, 한 분야의 전문성만을 바탕으로 한 기존의 연구들이 다루지 못한 연구문제들을 사회과학 이론을 바탕으로 공학적 방법을 도입하여 융합적인 ... |
키워드 |
인구고령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 삶의질, 빅데이터, 사회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