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본 연구의 기본 목적은 조선후기 인재 교육․선발 제도에서 중요한 축을 이루었던 성균관 과시의 실제 운영 상황과 제도적 영향력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성균관 과시(成均館 課試) 우등자에 대한 정보를 DB로 구축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관련 분석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성균관 과시의 인재 교육․선발장치로서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조선 후기 교육...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성균관 과시 우등자 관련 정보를 DB화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3년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각 연차별 연구방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1차년도: 전강 우등자 정보 DB 구축 및 분석]○전강 우등자 정보 DB 구축1차년도에는 전강 우등자의 정보를 DB로 구축한다. 대상 시기는 인조대부터 고종대까지(1623~1894)이며, 현재까지 개략적으로 파악한...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기대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조선 후기 인재 교육‧선발제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 조선후기에 과시 제도 중 사학에 관한 연구는 현재 어느 정도 성과가 축적된 상태이다. 여기에 성균관 과시 연구를 추가한다면, 조선후기 과시 제도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질 것이다. 과시 제도는 학교제도 및 과거제도와 밀접하게 연계되면서, 조... |
키워드 |
인재 교육․선발체제, 성균관 과시(成均館 課試), 전강(殿講), 절제(節製), 문과(文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