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세계 보편적 정서로서의 효감성ㅇ 최근 한류 문화가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공감을 받는 것에는 콘텐츠 스토리의 감동성, 한국적 독특함, 정서가 그 바탕에 있으며 외신들은 한류 문화의 내재된 철학적 가치와 그 착함(善)의 근원적 해석을 통한 벤치마킹에 열을 가하고 있다. 이에 콘텐츠 스토리의 감동성, 한국적 독특함, 정서가 무엇인지를 해명 하는 것은 대단... |
| 연구내용 |
* 을 다루지 않음ㅇ 한국의 감정을 담고 있는 문헌인데 여태까지 아무도 연구하지 않았다. 번역하고 연구하면서 책발간을 통해서 전통 효감성을 구성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이라는 것은 단순히 철학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상도 알 수 있고, 문학성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수양론 '경'의 구체적 실현모습 제시ㅇ 조선 수양론은 한마디로 정의하면 '경'이다. 송대... |
| 기대효과 |
*효감성을 통한 사회치유ㅇ 효감성이 세계사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은 자본주의가 배제해버린 감정을 다시 복원하는 일이다. 나의 감정이 살아야지만 남의 감정도 헤아릴 수 있다. 나의 감정이 온전해야지 지구의 감정도 베려할 수 있는 것이다. 효감성은 에서 말하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이듯이 나의 치유가 지구의 평안까지 갈 수 있어야 한다. 스스로의 가지고 있는 仁... |
| 키워드 |
효자전, 효감성, 경, 민족공통성, 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