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폭염재난 관련 기후정의 양상은 건강불평등이라는 도시커뮤니티의 복잡한 공간문제로 나타난다. 이런 건강불평등 현상은 커뮤니티내의 사회안전망약화를 초래한다. 주거 취약계층 피해를 예방하고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어 주민참여형 수요자 중심 맞춤형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4차산업혁명을 지향하는 국내에서는 시민참여에 바탕을 두고 있는 사회문제... |
연구내용 |
기후변화에 따른 기후재난 심각화, 고령화 사회, 1인가구 증가, 대도시로의 인구집중 현상으로 국내에서는 폭염으로 인한 도시취약계층의 생활안전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질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커뮤니티 생활안전 문제는 기후정의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도시환경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직간접적 환경, 사회경제적 변화와 더불어 환경비정의 또는 환경불평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먼저, 취약성과 준비성융합 메커니즘 평가, 취약계층분포와 폭염에 따른 건강불평등평가 등으로 다양한 데이터 과학을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지표화 및 데이터 시각화 (지도화), 공간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커뮤니티 주민들은 물론 관련 이해관계자, 연구기관 등이 폭염 적응 정책을 도출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커뮤니티 기반 참여 활동... |
키워드 |
폭염, 기후정의, 취약성과 준비성 융합메커니즘, 건강불평등, 데이터과학, 시민과학, 기후거버넌스, 사회혁신, 기후변화정책 |